세상살이/횡설 수설

모유도 사고 판다?(허허! 울어야 될지 웃어야될지)

행복한순례자 2008. 10. 3. 12:21

모유 사고 판다
“모유 팔아요. 한 팩에 150㎖씩 들어 있고 가격은 800원입니다. 냉동상태로 포장해 집까지 배달해 드립니다.”

일부 국내 분유업체가 수입한 뉴질랜드산 분유 원료인 ‘락토페린’에서 소량의 멜라민이 확인되자 산모들 사이에서는 모유 매매가 급증하고 있다. 수원에 사는 주부 박종명(29)씨는 2일 “멜라민 파동 이후 모유를 팔겠다는 글을 블로그에 올리자 5분도 안돼 20여통의 문의 전화가 걸려 왔고 하루 평균 60여통의 주문·문의 전화가 걸려 온다.”고 말했다.

5개 모유은행의 모유판매도 늘었다. 사랑나눔 모유은행 대표인 김혜숙(60·여·한국모유수유협회장)씨는 “모유는 지난달에 180㎖ 들이 500∼600병이 팔렸고 멜라민 파동 이후 산모들의 문의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면서 “모유 판매는 전달 대비 150% 증가했다.”고 말했다.

출산 후 유선염에 걸려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김지영(30)씨는 “모유를 먹일 수 없지만 생후 30일 된 아이에게 멜라민이 의심스러운 분유를 먹일 수 없어 다른 여성의 모유를 구입해서 먹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함몰유두 증상으로 수유할 수 없는 이윤진(29)씨도 “생후 3개월 딸에게 줄곧 외국산 고급 분유를 타줬으나 멜라민 분유 파동 이후 모유은행에서 모유를 구입해 먹이고 있다.”면서 “주변에 비슷한 처지의 엄마들 사이에선 멜라민 파동 이후 모유 구입이 대세”라고 전했다.

수유 관련 제품의 판매량도 늘었다. 인터넷 쇼핑몰 G마켓에서 지난달 15∼21일까지 유축기, 수유패드, 모유 비닐팩 등 수유 용품의 주간 판매는 6400여건이었다. 중국 멜라민 분유 파동 소식이 전해지기 전 주간(6∼12일)의 4990건보다 30%가량 증가한 것이다.

한편 식약청은 이날 “국내 이유식과 분유제품에서는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주부들은 정부의 발표를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인터넷 카페 ‘맘스홀릭 베이비’에는 주부들의 불만 글이 잇따랐다. 아이디 ‘분홍이맘’은 “식약청의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면서 “5만∼10만원 정도의 거금을 들여서라도 개인적으로 분유 성분 분석을 의뢰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황비웅기자 kimje@seoul.co.kr

'세상살이 > 횡설 수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심리검사 해 보세요  (0) 2009.03.01
횡설 수설(네니버 지식 답변 펌)  (0) 2008.10.22